전세든 매매든 부동산 계약을 하면 중개수수료를 내야 합니다.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는지 모르고 그냥 부르는 대로 내는 경우가 많죠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수수료(중개보수) 계산법과
조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는 꿀팁
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1. 중개수수료 vs 중개보수, 뭐가 다를까?
일반적으로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, 공식 용어는 중개보수입니다. 다만 실무상 ‘중개수수료’라는 표현도 널리 쓰입니다.
✔ 부동산 중개수수료란?
중개사무소(공인중개사)에게 지급하는 수수료로,
국가가 정한 요율 범위 내에서 거래금액에 따라 책정
됩니다.
2. 중개수수료 요율표 (2025년 기준)
📌 주택 매매/교환
거래금액 | 요율 상한 | 최대 수수료 |
---|---|---|
5천만 원 미만 | 0.6% | 30만 원 |
5천만 ~ 2억 원 미만 | 0.5% | 100만 원 |
2억 ~ 6억 원 미만 | 0.4% | 240만 원 |
6억 ~ 9억 원 미만 | 0.5% | 450만 원 |
9억 원 이상 | 협의 | 상호합의 |
📌 전세/월세(임대차)
보증금 기준 | 요율 상한 | 최대 수수료 |
---|---|---|
5천만 원 미만 | 0.5% | 25만 원 |
5천만 ~ 1억 원 미만 | 0.4% | 40만 원 |
1억 ~ 3억 원 미만 | 0.3% | 90만 원 |
3억 ~ 6억 원 미만 | 0.4% | 160만 원 |
6억 원 이상 | 협의 | 상호합의 |
※ 월세의 경우: 보증금 + (월세 × 100) → 합산 후 계산
3. 중개수수료 계산 예시
예시 1: 3억 원 전세 계약
- 요율 상한: 0.3%
- 계산: 3억 × 0.003 = 90만 원 (양측 절반씩 부담하는 경우도 있음)
예시 2: 6억 5천만 원 아파트 매매
- 요율 상한: 0.5%
- 계산: 6.5억 × 0.005 = 325만 원
4. 중개수수료 아끼는 꿀팁 5가지
- 요율은 상한선일 뿐, 협의 가능
정해진 요율은 '최대치'입니다. 계약 전에 조정 요청 가능해요. - 동일 지역 다수 중개업소 비교
수수료 조정 여지가 있는 중개사무소를 찾는 것도 방법! - 온라인 플랫폼 이용
직방·호갱노노·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 등에서 중개 수수료 50% 할인 이벤트를 활용하세요. - 매도인과 직거래 협상 시도
상황에 따라 공인중개사 없이 계약 가능 (단, 주의 필요) - 공공중개서비스 활용
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중개보수 무료 또는 저렴한 공공중개소도 확인!
5. 주의해야 할 점
✔ 계약이 성사되지 않았다면 수수료 낼 필요 없습니다.
✔ 법정 상한을 초과한 금액을 요구하면 불법입니다. (신고 가능)
✔ 수수료는 계약서 작성 시점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결론: 계산법만 알아도 수십만 원 아낄 수 있습니다
중개수수료는 거래 시 반드시 발생하는 비용이지만,
제대로 알고 협의하면 합법적으로 절약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부동산 거래에서도 정보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. 계산법을 알고, 정당하게 협상하세요. 내 돈은 내가 지킵니다!